본문 바로가기
정보

윈도우 10 복원 시점 복구 방법: 간단하고 빠르게 문제 해결하기

by 231jsaflas 2025. 2. 17.

윈도우 10 복원 시점 복구 방법: 간단하고 빠르게 문제 해결하기

 

목차

  1. 윈도우 10 복원 시점이란?
  2. 복원 시점 복구 방법: 단계별 안내
  3. 복원 시점 복구 시 주의사항

윈도우 10 복원 시점이란?

윈도우 10 복원 시점은 시스템 파일, 레지스트리 설정, 설치된 프로그램 및 드라이버의 특정 시점 상태를 저장해 놓은 것입니다. 윈도우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복원 시점을 이용하면 이전의 정상 상태로 되돌릴 수 있습니다.

복원 시점 복구 방법: 단계별 안내

  1. 시스템 복원 실행:
    • 윈도우 검색창에 "복원"을 입력하고 "복원 지점 만들기"를 선택합니다.
    • "시스템 속성" 창이 나타나면 "시스템 복원" 버튼을 클릭합니다.
  2. 복원 시점 선택:
    • "시스템 복원" 마법사가 실행되면 "다음"을 클릭합니다.
    • 복원 가능한 시점 목록이 나타나면 원하는 시점을 선택하고 "다음"을 클릭합니다.
    • "영향을 받는 프로그램 검색" 버튼을 클릭하면 복원 시점 이후에 설치된 프로그램 중 삭제될 가능성이 있는 프로그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  3. 복원 시작:
    • 선택한 복원 시점과 관련된 설정 내용을 확인하고 "마침"을 클릭합니다.
    • 시스템 복원이 시작되면 컴퓨터가 자동으로 재부팅됩니다.
    • 복원 과정이 완료되면 윈도우가 선택한 복원 시점의 상태로 되돌아갑니다.

복원 시점 복구 시 주의사항

  • 복원 시점 복구는 시스템 파일, 레지스트리 설정, 설치된 프로그램 및 드라이버를 이전 상태로 되돌리지만, 개인 파일(문서, 사진, 동영상 등)은 변경하지 않습니다.
  • 복원 시점 복구 과정은 시간이 걸릴 수 있으며, 컴퓨터 성능에 따라 소요 시간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.
  • 복원 시점 복구 과정이 완료되면 이전 상태로 되돌릴 수 없으므로 신중하게 복원 시점을 선택해야 합니다.
  • 복원 시점 복구 과정 중에는 컴퓨터 전원을 끄거나 강제로 종료하지 않아야 합니다.

이 외에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문의해주세요.